환율이 바꾼 여행지도, 트립비토즈 2025년 여행객 선택 분석
미국발 관세 정책 변화와 국제 유가 상승이 이어지는 가운데, 여행객들의 선택지는 ‘심리적 거리’보다 ‘실질 가격’에 따라 재편되고 있다.
영상 기반 여행 플랫폼 트립비토즈는 2025년 1월과 4월 자사 예약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했다.

Top10 방문 국가 순위 변화를 통해, 전 세계 불확실성이 여행 패턴에 미친 영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초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단행했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며 원화 약세가 고착화됐다.
동시에 국제 유가는 반등세를 보이며 항공료와 유류할증료가 상승했다.
이와 같은 외부 변수는 OTA 플랫폼 이용자들에게 곧바로 영향을 미쳤다.
항공권·숙박비 인상에 따른 여행 총비용의 변화가 여행지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트립비토즈는 2025년 1월과 4월, 두 시점의 예약 데이터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일본은 여전히 압도적 1위를 유지했으며, 미국은 2위에서 4위로 하락, 대신 베트남은 3위에서 2위로 상승하며 ‘가성비 여행지’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미국은 항공권과 숙박비 부담으로 인기 순위가 하락했고, 같은 이유로 중국, 홍콩도 순위 밖으로 밀려났다.
반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으며, 싱가포르와 오스트리아처럼 물가 안정성이 있는 국가들이 신규 진입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유럽의 경우, 달러 대비 유로의 상대적 안정과 비성수기 프로모션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트립비토즈 김준식 이사는 “2030세대는 여행을 포기하지 않지만, 비용에 따라 목적지를 매우 유연하게 바꾼다는 특성이 있다”며, “환율과 유가처럼 소비자 체감 비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이들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OTA 플랫폼은 단순한 숙박 추천을 넘어, 실시간 환율·항공 요금·로컬 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여행 정보 제공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트립비토즈는 2025년 들어 환율 기반 여행지 추천, 항공권 가격 트래킹, 포인트 보상 기반의 'Travel to Earn(T2E)' 기능을 통해 가격 변화에 민감한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여행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영상 리뷰 중심의 콘텐츠, 커뮤니티 중심 구조, 실시간 트렌드 반영 등 플랫폼의 민첩성을 활용해 여행지 선택의 기준 자체를 바꾸는 흐름을 주도 중이다
2025년은 여행 회복의 해가 아닌, 여행의 '재구성'이 일어나는 시점이다.
환율, 유가, 정책 변화와 같은 글로벌 변수에 얼마나 민감하게 대응하는가가 여행 플랫폼의 핵심 경쟁력이며, 트립비토즈는 그 흐름을 실시간으로 읽고 반영하는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트립비토즈는 사용자 중심의 여행 플랫폼(Online Travel Agency)으로 2017년 6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들이 직접 여행 동영상을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을 얻을 경우 트립캐시를 보상받아 다시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T2E(Travel 2 Earn)’ 서비스를 전 세계에서 처음 선보였다.
서비스 론칭 이후 혁신 성장 기업으로 글로벌 여행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20년 11월 「2020 도전 K-스타트업」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2022년 ‘제49회 관광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관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